Startup 전 준비 작업을 효율화하고 정기 수리 기간 단축에 기여
플랜트 Startup 전의 작업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므로 전문인원을 여러명 배치해, 몇 일간 실시했었습니다.InnovativeField Organizer와 컨트롤 밸브 메인터넌스 지원 시스템 PLUG-IN Valstaff(이하 Valstaff)를 활용함으로써 점검·테스트 작업이 효율화되어 정기 수리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루프 체크 작업의 효율화
여러 현장 기술자에 의존하고 있던 작업을 InnovativeField Organizer가 실시함으로써 계장 유지 관리의 업무 효율을 극대화.
1. AI 루프 체크 작업의 효율화(예: 압력계 100대의 3점 루프 체크)
기존 방법

3일
현장 기술자가 현장에서 커뮤니케이터 등으로 모의 입력하여 오퍼레이터가 확인.
InnovativeField Organizer로 검사

2시간
InnovativeField Organizer가 현장 기술자 대신 다양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합니다.
2. AO 루프 체크 작업의 효율화(예: 컨트롤 밸브 85대의 5포인트 왕복 루프 체크)

기존 방법
2일
현장 기술자가 DCS 출력에 대한 컨트롤 밸브의 실제 개도를 체크하고 오퍼레이터가 DCS 출력을 수동 변경.
InnovativeField Organizer로 검사

3시간
InnovativeField Organizer는 현장 기술자 대신, DCS 출력에 대한 컨트롤 밸브의 실제 개도를 체크. DCS로 OPC 통신할 수 있는 경우, InnovativeField Organizer가 Operator 대신 DCS 출력을 자동 변경.
3. 요꼬가와전기 PRM+Valstaff로 AO 루프 체크 작업의 효율화

기존 방법
오퍼레이터가 DCS 출력 MV를 수동으로 변경하고, 현장 기술자가 DCS 출력 MV에 대한 컨트롤 밸브의 실제 개도를 체크.

새로운 방법
90% 이상의 공수 절감
Valstaff는 Operator 대신 Exaopc를 경유하여 조절 제어 블록의 출력 MV를 자동 변경. Valstaff는 현장 기술자 대신 HART 통신을 사용한 PRM을 통해 DCS 출력 MV에 대한 컨트롤 밸브의 실제 개도를 체크.
이 기능은 Valstaff 릴리스 버전 (R51 이상)
자세한 내용은 자료「요꼬가와전기의 PRM을 도입하는 고객님께…장치의 증설 개조 시, 정기 수리 후의 스타트 전 “Valstaff”로 효율화된 루프 체크를 체감해 주세요!」를 확인해 주세요.
스텝 응답 테스트의 효율성
Valstaff에 의한 스텝 응답 검사로, 개도 지시값에 대해 정확한 개도로 작동하는지,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체크. 검사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컨트롤 밸브의 성능 저하나 부적합 발견 및 성능 평가가 용이해 집니다. 여러 대의 컨트롤 밸브에 대해 자동 실행할 수 있으므로 정기 수리·정기 점검의 공수를 대폭 단축합니다.
기존 방법에 의한 컨트롤 밸브
42대의 스트로크 검사

1일
2~3명 필요. 계기실과 현장에서 각 1명.
Valstaff의 검사

45분
리스트에 등록한 밸브를 최대 16대 단위로 연속 검사 실행하여 시간 대폭 단축.
인터록・시퀀스 검사의 효율성
InnovativeField Organizer의 모의 입력 툴을 이용하면, 시퀀스 테스트나 인터록 테스트로 실시하는 현장 혹은 단자 판넬에서 모의 입력을 InnovativeField Organizer의 모의 신호에 의한 일괄 지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툴은 다수가 모의 입력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테스트 작업의 효율성에 기여합니다. 또한, 전원 단선 작업을 불필요하여 재접속 시의 접속 실수의 원인 그 자체를 배제할 수 있어 안전성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기존 방법
모의 입력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InnovativeField Organizer로 검사

모의 신호를 일괄적으로 지시하여 작업량 감소.
Significant reduction in manpower


현장 개선 담당자가 꼭 봐야 할 사항
- 발전 설비를 안전·안심에 가동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밸브 해석 진단 서비스를 활용 <사례 소개>
- 정기 수리 시의 밸브 루프 체크 효율화<사례 소개>
-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합 공정의 밸브 고착 경향을 파악해, 정비 시기를 최적화 <사례 소개>
밸브 해석 진단의 결과가 플랜트 조업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한 사례는?
밸브 진단을 활용하여 제조 현장의 DX화를 추진한 사례는?
보일러 설비의 중요 밸브로 이상을 검지한 사례는?
정보 기술의 활용으로 변혁을 이루는 밸브 해석 진단의 최신 동향과 사례를 한정 공개.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문의